#62. 무주택자 + 월세살이 + 주식몰빵 장기투자 신혼부부의 22년 8월 투자 결산

2022. 9. 1. 13:39경제적 자유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스터 부입니다.

미스터 & 미시즈 부는 현재 무주택자로 월세를 살며

소득의 대부분을 주식에 몰빵 투자하고 있습니다.

19년 1월부터 시작해서 어느덧 45개월째.

나름 장기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2년 8월 투자 결산을 해보겠습니다. 

8월의 시작은 의외로 좋았는데요! 8월 중후반까지 지수와 주식들이 과감한 상승을 보였습니다.

분명 8월 초부터 엄청난 상승을 했는데...

8월 초부터 중순까지 엄청난 상승을 하더니?!?! 

불과 일주일 만에 엄청난 하락을 하며 다시 8월 초로 돌아왔습니다???

https://mr-voo.tistory.com/64

 

#58. 44개월차 지수추종 ETF 투자자의 포트폴리오

안녕하세요 미스터부 입니다. 글을 통해 소통하는건 지난 20년8월 이후로 2년만이네요! 지난 19년 1월부터 시작한 적립식 투자가 어느덧 44개월차까지 이어졌습니다. 20년8월 당시에 저처럼 적립식

mr-voo.tistory.com

 

불과 1주일 전 미스터 부의 포트폴리오 공유 때와 사뭇 다른 계좌가 되었습니다.

 

22.8.31자 포트폴리오. 사정없이 떨어지는 VOO

 

VOO를 기준으로 약 20불 정도가 하락했고, 하락세는 계속될 것 같습니다.

어디까지 떨어질지 모르겠지만 줍줍 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22년8월 한달간 +0.28% 수익. 사실 환율이 아니였다면 마이너스.

 

8월 한 달간 수익은 +0.28% 인데, 사실 환율의 상승이 아니었다면 마이너스입니다.

환율 덕분에 아주 조금이나마 수익이 난 것으로 보이네요.

최근 환율이 급격하게 오르면서 미국 주식 투자를 망설이시는 분들이 있다고 합니다.

환율은 누구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만, 앞으로 환율에 대한 제 의견을 공유한 글이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

https://mr-voo.tistory.com/67

 

#61. 한미 기준금리 역전과 환율 1,300원 돌파. 9월 FOMC 는?

환율 1300원 돌파. 22년 8월31일 기준으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는 2.5%p로 같습니다. 경제에 관심있으시거나, 투자를 하시거나, 무역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라면 기본적으로 한국의 기준금리가

mr-voo.tistory.com

 

연간으로 보면 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아직 갈길이 멀다.

환율 덕분에 실제 S&P500의 하락폭보다 거의 10% 이상 손실이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환율이 올라가지 않았다면 -15% 이상으로 손실액은 -1.5억 이상이었겠네요.

미국 주식에 투자하면 달러와 주식. 두 가지에 자산배분을 하는 효과가 있다는 게 이런 점이겠네요.

이렇게 44개월 차 투자를 마무리하고, 45개월 차 투자로 진입했습니다.

22년 9월~11월은 굵직한 이벤트가 많습니다.

당장 9월 FOMC와 10월 중국 당대회, 11월 미국 중간선거까지 

세계경제에 충분히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벤트 들이죠.

세계적인 파도에 맞서지 말고 그저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꾸준히 매수하는 것뿐.

45개월 차 투자에서도 시장을 떠나지 않고 계속 매수하겠습니다.

모두 성투하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