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세대별, 연령별 투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2020. 2. 17. 20:04경제적 자유

반응형

투자자의 현재 상태와 목표에 따라 투자전략과 방법이 천차만별로 차이가 납니다.

모든 상태를 세분화해서 설명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쉽지 않은 일이기에! 오늘은 가볍게 세대별 또는 연령별 투자형태에 대해 간단히 제 생각을 얘기해보려 합니다.

저는 30대가 되고서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투자를 시작한 목적은 바로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해서 인데요! 경제적 자유에 대한 설명은 아래 파이어족 포스팅 1~3부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https://mr-voo.tistory.com/20

 

#15. 30대 은퇴를 노리는 파이어족 1부 (Feat - Tvn Shift)

최근 Tvn에서 심상치 않은(?) 다큐를 방영하고 있습니다. 트렌드 전문가 김난도, 소설가 김영하,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교육공학자 폴김. 4인의 지식 큐레이터들이 전하는 내일의 발견! TREND + BOOKS + SPACE +..

mr-voo.tistory.com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30대에 시작하는 투자는 미래를 위한 투자입니다. 나의 종잣돈을 더욱 크게 만들기 위해서 또는 결혼, 주거 등의 큰 이벤트가 있을 때 사용하기 위해서 투자를 하곤 하죠. 즉, 투자의 목적은 종잣돈을 크게 불리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큽니다. 재산을 불려라! 이것이 30대의 투자 목적이죠! 따라서 다소 공격적이고 손실 가능성이 있지만 수익률은 높은 종목들에 투자를 하게 됩니다. 물론 극도로 위험성 짙은 종목에는 투자하지 않아야겠죠? 우리는 투자를 하는 것이지 투기나 도박을 하는 게 아니니까요!

그렇다면 40대는 어떨까요? 대체로 40대 분들은 결혼 이후 주거를 해결해가는 과정에 있으실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주거에 대출이 있다면 원리금 상환과 동시에 자녀가 있다면 아이의 미래계획도 함께 준비하실 시기인데요! 이때 40대 뿐만 아니라 출산 후 가정의 투자형태는 바로 노후와 아이의 미래에 초점이 맞춰지게 됩니다. 아이가 성인이 돼가는 과정에서 필요한 교육비를 위해서, 또는 성인이 된 아이의 미래를 위해서 장기간에 걸친 투자가 시작이 되는 시기입니다. 아이가 태어나서 성인이 되기까지를 약 20년으로 본다면?? 정말 어마어마한 수익을 얻을 수 있겠네요! 물론 동일하거나 더 높은 비중으로 부모님들의 노후준비에도 투자가 되어야겠죠??

50대의 투자는 직장에서의 은퇴를 염두에 둔 투자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제는 리스크가 큰 투자보다는 은행 예적금 이자보다는 높으며 안정적인 투자를 할 때 입니다. 은퇴 후 생활을 위한 현금 흐름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이기도 하죠! 이때의 투자는 30~40대의 투자와는 사뭇 다릅니다. 이제는 투자금도 30~40대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신중해야 합니다. 특히 은퇴 후의 삶도 100세를 넘어 120세를 바라보는 현대사회에서는 40년 이상의 노후를 생각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은퇴자금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60대가 되어 은퇴를 하게 되면 이제는 연금 또는 투자처에서 나오는 현금흐름으로 생활을 해야합니다. 이때에는 그동안 쌓아온 자산을 월배당 또는 월세 등의 현금흐름을 주는 자산으로 바꾸게 되는 시기입니다. 주식으로 표현하자면 주가가 안정적으로 오르지만 배당은 적었던 종목에서, 월배당을 꾸준히 주면서 동시에 주가 상승률은 다소 떨어지는 종목으로 변경하는 시기입니다. 부동산으로 치면 전세를 끼고 매수한 집을 월세로 전환하는 것이죠! 이렇게 매월 일을 하지 않아도 현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완성해 가는 시기입니다.

이렇게 세대별 연령별 투자 특징을 알아봤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저는 현재 30대 중반을 지나고 있는 초보 투자자로써 저의 40대와 50대, 그리고 60대의 투자방법이 앞서 설명한 것처럼 천천히 변할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특히 자녀의 출생때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20년이란 기간 동안 자녀의 계좌에 투자를 해준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도 굉장히 궁금합니다.

세대별 투자의 차이! 공감이 되신다면 공감 꾹! 구독 꾹! 해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