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14)
-
그래서 지수추종 장기투자 추전해? 지수추종 VOO 적립식 장기투자
최근 미국 지수추종 적립식 투자자가 늘고 있다. 지수추종 외에도 애플,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처럼 우량주 또는 성장주를 적립식으로 꾸준히 모아가는 투자자도 늘고 있다. 나 역시 만 5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지수추종 적립식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데, 과연 "지수추종 적립식 투자" 추천할 수 있을까? "음... 네 니오?" "?????" 일단 시작해서 계속하고 있기는 한데, 막상 수익률이나 수익액은 다른 투자에 비해 썩 좋지는 않고 옆에 테슬라, 애플의 수익률이 더 좋으니까, 굳이 추천하기는 좀 어려운 그런 투자법이랄까? 지수추종 적립식 투자는 시장을 예측하지 않아도 되고, 투자 시점을 예측하지 않아도 되고, 현생을 열심히 살면서 여윳돈으로 S&P500을 매수하면 30년 뒤에는 충분한 노후준비뿐 아니라 부자가..
2023.10.16 -
23년 9월 30일 투자결산 지수추종 VOO 적립식 장기투자
[딸깍] [매수 주문이 체결되었습니다] 23년 9월 포트폴리오 "이번달도 VOO 매수했고, 이제 1,800주 맞춰졌네." "그래서 이번달은 얼마나 녹아내렸나" 계좌를 열어보니 대략 삼천만 원 정도가 녹아서 사라졌다. 이럴 때 참 만감이 교차한다. 차라리 저 돈으로 먹고 싶은 거 다 먹고, 사고 싶은 거 다 사서 써버렸다면 어땠을까? 하지만 이럴 줄 몰랐으니까..라고 애써 위로하며 계좌를 껐다. "추석인데 너무하네" 우리 부부는 무주택자로서 월세살이 하는 신혼부부이다. 나와 와이프는 각자의 방식대로 자산관리를 하고 있는데, 나는 VOO를 적립식으로 투자하고 있고, 와이프도 미국주식을 적립식으로 투자하고 있다. 나는 2019년부터, 와이프는 2020년부터 시작했으니 투자 기간이 짧지 않다. 첫 투자를 시작할..
2023.10.14 -
미국 지수추종 장기투자 57개월 차 VOO 적립식 투자
19년 1월부터 미국주식에 투자한 지 어느덧 57개월을 끝내고 58개월 차를 맞이하고 있다. 57개월간의 투자상황을 요약하자면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인 VOO와 달러, 원화로 보유하고 있다. 18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미중 무역분쟁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폭락했을 당시. 나는 예적금으로 충실하게 시드머니를 모으던 30대 초반의 청년이었다. 예적금 외에 재테크는 해본 적 없는 말 그대로 초짜였던 내가, 당시에는 선뜻 투자하기 어려웠던 미국주식에 투자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을까? 사실 특별한 계기가 있었던 건 아니다. 단지 예적금에 묶여있는 소중한 시드머니가 고작 2.x% 대의 다소 하찮은 취급을 받는 것을 참을 수 없었고, 다들 비슷한 시기에 느끼는 바와 같이 근로소득 만으로는 미래를 바꾸기 ..
2023.10.13 -
#108. 미국 9월 CPI 발표 예상치 하회
안녕하세요 미스터 부입니다. 방금 전 미국 9월 소비자물가지수와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결과는 소비자물가지수 예상치 8.1% 대비 실적은 8.2%,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예상치 6.5% 대비 실적 6.6%로 시장은 발표 직후 급 하락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CPI 발표 이후부터 시작하는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11월 2일에 예고된 FOMC의 금리인상 때까지 시장의 변동성은 줄지 않고 계속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인상과 양적 긴축 등의 강한 금융 정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생각보다 효과는 미비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인데요. 우리나라도 이전까지 금리인상이 물가안정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사실 때문 일 끼요? 어제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50bp..
2022.10.13 -
#106. 고금리 고유가 고환율 시대. 달러가 답이다.
안녕하세요 미스터 부입니다. 22년은 대 인플레이션의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은 계속되고, 달러 인덱스의 폭등으로 환율은 치솟고, 전쟁과 원유 감산으로 유가는 다시 90불을 넘어 100불을 향해 가는 지금은 고금리, 고유가, 고환율 시대입니다.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3고 현상을 겪고 있지만, 미국은 기축통화국이자 최대 산유국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환율과 고유가 악재를 비껴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꺾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있는데요. 내일이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대한민국 기준금리 인상이 발표됩니다. 시장은 기준금리가 50bp 인상이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는데, 50bp 인상을 견디기에 우리나라 경제구조가 건강치 못..
2022.10.11 -
#105. 22년 3분기 실적발표 일정
안녕하세요 미스터 부입니다. 이번 주부터 3분기 실적 발표 일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눈여겨볼 기업은 수요일 펩시 목요일은 블랙록, 도미노피자, 델타항공과 반도체 기업인 TSMC 금요일은 미국을 대표하는 금융주들과 헬스케어인 유나이티드 헬스 그룹이 있습니다. 추가로 이번 주 목요일에 9월 소비자 물가지수 CPI가 발표되는데, 여기에 수~금의 실적 발표 영향이 더해지면서 하락의 방향에 힘을 싣을 수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긴장하고 있습니다. 올해 3분기 실적은 대체로 호실적이 나오기 어려운 환경이었기 때문이죠. 미국의 기준금리가 올해 초부터 계속 올랐기 때문에 은행, 금융주들의 호실적을 기대해보지만 금융주들의 호실적이 나오더라도 주식시장이 오를 것이란 상상이 잘 되지 않습니다. 은행이 실적이 좋다는 얘..
2022.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