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달러(16)
-
#106. 고금리 고유가 고환율 시대. 달러가 답이다.
안녕하세요 미스터 부입니다. 22년은 대 인플레이션의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은 계속되고, 달러 인덱스의 폭등으로 환율은 치솟고, 전쟁과 원유 감산으로 유가는 다시 90불을 넘어 100불을 향해 가는 지금은 고금리, 고유가, 고환율 시대입니다.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3고 현상을 겪고 있지만, 미국은 기축통화국이자 최대 산유국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환율과 고유가 악재를 비껴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꺾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있는데요. 내일이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대한민국 기준금리 인상이 발표됩니다. 시장은 기준금리가 50bp 인상이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는데, 50bp 인상을 견디기에 우리나라 경제구조가 건강치 못..
2022.10.11 -
#104. 한국 기준금리 50bp 인상 예고
10월 12일에 예고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25bp 인상이 아닌 50bp 인상이 유력함을 시사했습니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와 75bp 차이가 있지만, 다음 달 11월 2일에 예정된 FOMC에서 미국 기준금리를 75bp 추가로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현실화된다면 100bp 이상의 금리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유의미한 행보를 보이지 않는다면 환율과 물가가 통제할 수 없는 수준으로 오를 것이란 전문가들의 진단이 있습니다. 최소 연말까지 3% 중반의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내년에도 계속해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잡을 때까지 인상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금리 인상 전망인데요. 특히 10월 초 현재의 대내외적 악재가 쌓여가면서 불가피하게 50bp 이상의 금리인상을 ..
2022.10.09 -
#102. 다가오는 경제위기. 지금은 투자하기 좋은 시기인가
세계 국제 통화기구인 IMF에서 세계 경제가 위기를 맞이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습니다. 조지 워싱턴 연설에서 IMF 총재는 20년 초 코로나를 시작으로 22년 인플레이션과 전쟁, 기후변화 등의 위기까지 쉼 없이 글로벌 위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화합과 일관된 정책이 필요한데, 현재 상황은 국제사회의 분열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세계경제는 국제정치와 기후변화에 과거보다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불확실성과 변동성의 폭이 커지고 있다는 이유로 내년도 세계경제성장률을 올해보다 낮출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내년 성장률을 올해보다 낮춘다는 것은 내년의 경기침체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는 의미기도 합니다. 내년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아진 이유는 미국 연준의 인플레이션을 해..
2022.10.07 -
#98. 테슬라 AI 데이와 22년 3분기 실적 전망
테슬라는 지난 1일 AI데이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인 옵티머스의 시제품을 소개하였습니다. 향후 3~5년 안에 판매를 목표로 하며 로봇 1대당 약 2만 불 (원화 2800여만 원) 대에서 구매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시장의 반응은 이번 발표를 큰 호재로 보지 않는 듯합니다. 타 로봇 회사에 비해 수준이 낮기도 하고, 현재 성능으로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실용성이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이겠죠? 하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굉장히 기대가 되는 미래입니다.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는 모르지만,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인이 구매할 수 있다는것 만으로도 굉장한 경험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작동이 잘 되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일상생활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기대되기도 합니다. 아마 스마트폰 급으로 세상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까 생각이 ..
2022.10.03 -
#97. 전 세계 에너지 공급 부족과 가격 폭등
우리나라는 10월 1일부터 가스와 전기요금이 한차례 더 인상됐습니다. 전기요금은 지난해 10월부터 3 달마다 인상을 반복했고, 1년 만에 1 kWh당 22원 인상되었고 가스는 6개월 사이에 월평균 1만 2천 원 가까이 올랐습니다. 가스요금은 다가오는 겨울부터 요금 인상을 체감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습니다. 전기와 가스요금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자영업자 분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자영업자 분들의 부담은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전가되기 때문에, 에너지 가격의 인상은 자연스레 물가인상을 야기시킵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가 에너지 공급 부족과 가격 폭등으로 힘겨운 한 해를 보내고 있습니다. 시작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부터 인데, 종전의 기대감을 갖기에는 양국의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습니다. 또한..
2022.10.02 -
#96. 46개월차 적립식 투자 S&P500 ETF VOO 1,700주
안녕하세요 미스터 부입니다. 22년 9월 마지막 주의 시장은 참 잔인? 했습니다. 시장 변동성이 S&P500 기준으로 최대 5% 폭으로 움직이면서 투자자들을 혼란에 빠뜨렸습니다. 짧은 기간 동안 큰 변동성을 보여서 인지, 단타매매를 하시는 분들의 성과도 크게 엇갈렸습니다. 대체로 인버스 또는 숏, 풋이라 불리는 하락에 투자하신 분들이 성과를 내는 한 주였다고 생각됩니다. 저도 자기전까지 시장 움직임을 보다가 예약매수를 걸고 잤는데요, 아침에 일어나 보니 모두 체결되어 있었습니다. 이걸 좋다고 해야 할지 나쁘다고 해야 할지 ㅎㅎ 제가 꾸준히 적립하고 있는 VOO를 330불에 40주 매수했습니다. 이제 제 계좌에서 VOO는 총 1,700주가 되었네요! 남은 예수금 + 매월 적립금이 더해지면 올해 안에 2,0..
20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