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16)
-
#114. 내가 지수추종 적립식 투자를 하는 이유 (VOO 적립식 투자)
안녕하세요 미스터 부입니다. 어느덧 22년 10월의 마지막이 다가오면서 저의 46개월 차 적립식 투자도 47개월 차로 넘어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1월 초부터 하락세를 보이더니, 2월 러-우 전쟁과 인플레이션 본격 발발, 3월부터 시작된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6월부터 시작된 양적 긴축, 그리고 매월 예상치를 웃도는 CPI로 인해 가파르게 상승한 미국 기준금리 등의 영향으로 시장은 쉬지 않고 우하향을 했습니다. 20년~21년에 올라간 자산 가격을 코로나 이전으로 되돌리려는 것일까 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강력한 금융정책이 쏟아진 한 해였습니다. 제 포트폴리오는 85%는 VOO에 투자되어있고, 10% 정도는 달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난 10월 13일에 발표된 9월 CPI 결과가 예상치보다 높았을 ..
2022.10.28 -
#107. 한국 기준금리 50bp 빅스텝 인상과 연말 금리 예상
안녕하세요 미스터 부입니다. 오늘 오전 한국 금통위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50bp의 금리인상을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대한민국 기준금리는 3%가 되었는데요. 시장에선 대체로 이번 50bp 인상에 대해 적절한 조치였다는 반응이 지배적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를 맞춰가기 위해서는 25bp, 베이비스텝의 인상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이었죠. 직전 금통위에서 25bp 인상을 발표했을 때 많은 전문가들은 소극적 금리인상은 원화 경쟁력을 악화시켜 환율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우려를 표했는데, 전문가들의 예상대로 환율은 1,450원 가까이 치솟으며 한국의 외환보유고에 빨간불이 켜지는 아찔한 상황을 맞이했습니다. 3주 뒤 있을 FOMC에서 미국의 75bp 인상 가능성이 80%가 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이에 맞춰 50..
2022.10.12 -
#103. 미국 실업률 발표와 주가하락의 이유
안녕하세요 미스터 부입니다. 미국의 9월 실업률이 예상치인 3.7%보다 낮은 3.5%로 발표되었습니다. 실업률이 예상보다 작다는 말은 고용시장이 강하다는 의미입니다. 실업자가 없는 것은 좋은 현상 같은데, 의외로 어제 주식시장은 폭락했습니다. 미국 9월 실업률이 예상치에 미치지 못하자 S&P500은 -2.8% , 나스닥은 -3.8%로 급락하며 마무리됐습니다. 실업률이 낮은 것은 경제에 좋은 신호가 아닌가? 실업률이 낮은데 왜 주식시장이 하락했을까? 이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먼저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은행의 존재 목적을 이해해야 합니다. 미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고 있는 연방준비은행은 존재의 목적을 물가안정과 고용안정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물가와 고용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금리와 유동성 공..
2022.10.08 -
#91. 22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징조
영국의 파운드와 미국의 달러 환율이 1파운드당 1.03달러까지 내려갔습니다. 올해 초 1파운드당 1.3달러에 달하는 환율 대비 무려 30% 가까이 달러 가치가 올라간 것입니다. 이로 인해 영국발 금융위기의 징조에 대한 우려와 함께 글로벌 금융위기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미국의 달러 이외에 준 기축통화인 파운드마저 달러의 강세에 무너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영국의 파운드화도 달러 강세를 피하지 못했다는 얘기는 달러 지수 역시 치솟고 있다는 얘기인데요. 현재 달러지수는 52주 최대 114.5 포인트를 넘어선 후 현재는 113.5 포인트에서 숨고르기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 이지만, 영국의 강달러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계속해서 벌어지기 때문입니다. 영..
2022.09.27 -
#86. 지수추종 장기투자자의 FOMC 이후 투자방향
오늘 새벽 9월 FOMC에서 기준금리 75bp 인상과 향후 금융정책에 대한 점도표와 파월 의장의 연설 및 기자회견이 있었습니다. 핵심 내용을 간추려 보면 1. 물가 안정 전까지 기준금리 인하 계획은 없다. 2. 대차대조표, 양적 긴축 규모 확대는 논의되지 않고 있다. 3. 경기침체가 우려되지만 연준은 더 엄격하게 물가를 잡겠다. 4. 올해 말 예상 금리는 4.5% p까지 올라갈 수 있다. 5. 23년 예상 금리는 5%p 까지 올라갈 수 있다. 시장은 연준의 75bp 금리인상 발표 직후에는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3대 지수는 큰 폭의 상승을 했습니다. 하지만 30분 뒤 연준 이사들의 점도표 공개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에서 크게 흔들리며 하락했습니다. 지난 잭슨홀 미팅에서의 향후 금융정책 방향과 크..
2022.09.22 -
#85. 다가온 미국 기준금리 인상 9월 FOMC
내일 새벽 3시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발표가 예정돼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제전문가들은 75bp의 인상을 예상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건 금리인상이 75bp냐 100b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고 합니다. 물론 금리인상 자체만으로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주식의 관점에서 보았을때는 금리인상은 이미 주가에 일부 반영되어 있으니 금리인상 이외의 요소에 대해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고 하는데요. 금리인상 이외에 시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는 양적긴축 규모 확대와 연준 위원들이 바라보는 미래의 금리 상한선을 나타내는 점도표입니다. 지난 6월부터 시작한 양적 긴축은 9월부터 2배에 달하는 규모로 진행되는데, 문제는 2배가 된 긴축 규모도 여전히 적다는게 주된 의견입니다. 금리인상과 함께 고강도 양적긴축이..
2022.09.21